본문 바로가기
육아공부

마음이론 발달의 영향 요인

by 랑맘 2022. 6. 25.
반응형

마음이론 발달의 영향 요인을 알아보자.

 

마음이론 발달의 영향 요인

마음이론의 발달 수준은 두뇌의 성숙과 인지능력의 발달, 유전이나 환경적 영향에 따라 개인차가 있다. 동일 연령 내에서도 뚜렷한 개인차가 존재하며, 이러한 차이는 부모 및 형제, 가작 놀이의 양과 질, 친구와의 상호작용, 도덕적 민감성 등과 관련된다.

 

1) 가족과의 대화

가족들과 함께 감정, 정서 및 의도와 같은 정신세계의 용어를 사용한 대화를 풍부하게 나누는 가정의 유아는 마음이론 과제 및 정서에 대한 이해 정도가 높다. 또한 외동아보다 형제가 있으며 가족 수가 많은 가정의 유아가 틀린 믿음 과제에서 수행 정도가 높은 경향이 있다. 가정의 성인, 손위 형제 수, 매일 상호 작용하는 연상의 아동 수가 마음이론 발달의 예언 변인으로 밝혀졌다. 따라서 부모가 자녀와 다른 사람의 마음 상태에 대해서 이야기하는 기회를 많이 갖는 것은 유아의 사회적인 이해를 돕는 데 효과적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2) 또래와의 일상적 상호작용

마음을 이해하는 능력은 유아가 또래들과 원만한 관계를 유지하는 데 반드시 필요한 능력으로 또래 상호작용 경험 및 사회적 활동의 참여를 통해 발달된다. 같은 연령의 유아일지라도 인지적 발달 정도나 성인 및 또래와의 상호작용 경험 여부에 따라 마음이론의 발달 수준에 차이가 있다. 또래의 바람, 정서 및 사고를 인식할 줄 아는 유아는 또래와 원만한 관계를 유지할 수 있으며, 활발한 또래 상호작용 경험을 바탕으로 마음의 기술을 더욱 발달시킬 수 있다. 반면 또래와의 상호작용 경험이 부족하여 타인의 마음에 대한 이해를 발달시킬 기회를 충분히 갖지 못한 유아는 또래집단으로부터 거절될 가능성이 높다.

또래 간 상호작용은 유아에게 있어 인지적 갈등의 원천이자 타인 이해의 출발점이 될 수 있다. 갈등의 원만한 해결과 또래관계의 유지를 위해서 유아는 또래의 의견, 태도, 견해를 고려하여 대처해야 함을 알게 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유아는 타인의 의도와 관심, 동기를 조망하는 것에 더 능숙해질 수 있고 자기 중심성에서 점차 벗어날 수 있다.

 

3) 가작 놀이 경험

가작 놀이 경험은 마음이론의 발달을 돕는다. 즉 가작 놀이는 유아의 사회적 경험 내용을 반영하는 사회적 활동으로 내면적이고 추상적인 사고의 발판이 된다. 또래들과의 가작 놀이를 통해서 유아는 정신 상태에 관한 대화를 빈번하게 나눌 있다. 또한 자신과 타인의 생각이나 의도, 신념과 같은 정신세계에 대해 반성해 있는 기회가 된다.

 


 

마음이론 발달을 돕는 양육자&교사의 역할

1) 유아와 함께 마음에 대한 대화 나누기

유아와의 일상적인 대화를 통해서 유아가 자신과 타인의 마음 상태에 주의를 기울이고 그 마음이 어떠할 것인지 헤아려 보는 연습을 할 수 있도록 돕는다. 집단을 대상으로 하는 이야기 나누기나 토의 활동은 유아가 자신의 마음속에 있는 감정과 생각, 신념들을 확인하고 표현하는 기회인 동시에 타인의 마음 상태를 엿보고 들여다볼 수 있는 기회가 된다. 또한 개별 유아와 대화를 하는 과정에서 교사는 유아가 다른 사람과 자신의 관점이 다를 수 있음을 이해하고 수용하는 태도를 가질 수 있도록 안내해 줄 수 있다.

 

2) 또래와 마음에 관한 이야기를 나눌 수 있도록 돕기

또래와의 상호작용 경험은 타인의 의도와 믿음, 생각, 정서와 같은 다양한 마음의 상태를 통찰해보는 기회가 되어 마음 이해 능력의 발달을 돕는다. 특히 친구 사이에서 발생하는 갈등과 논쟁 등을 효과적으로 조절해 보는 친구관계의 경험은 마음 이해능력에 영향을 줄 수 있다.

따라서 교사는 유아들끼리 서로의 의견을 이해하고 조율해보는 기회를 충분히 가질 수 있도록 집단토의나 사회극 놀이, 게임 등 또래 상호작용이 활발하게 일어날 수 있는 활동들을 충분히 마련해 주어야 한다. 그리고 그 과정에서 유아들이 서로가 나타낸 정서에 관심을 가지며 감정을 공유하는 경험을 충분히 제공해 준다. 유아 간 갈등 상황에서 '미안해라고 말해야지', ‘양보하는 아이가 착한 아이야'라는 식의 형식적인 화해와 사과를 강요하는 것은 오히려 마음이론에 대한 자연스러운 이해를 방해할 수 있다. 유아가 다른 사람의 마음에서 일어나고 있는 감정이나 생각에 관심을 기울이고 집중할 수 있도록 다음과 같은 질문을 통해 유아 스스로 타인의 입장을 조망할 수 있도록 지도해주어야 한다.

"저 친구가 왜 그랬을까?"

"너의 생각과 친구의 생각이 같니? 어떤 점이 다르니?"

"네가 친구라면 어떻게 하겠니?"

반응형

댓글